[선형대수] 대각화(Diagonalization)와 고유값분해(eigenvalue decomposition)의 의미
업데이트:
대각화(Diagonalization)와 고유값분해(eigenvalue decomposition)의 의미
참고링크
1.고유값 분해의 정의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유값분해(eigenvalue decomposi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제나 그랬듯 위키백과 정의부터 보시겠습니다.
선형대수학에서, 고유값 분해 또는 스펙트럼 분해는 행렬을 정형화된 형태로 분해함으로써 행렬이 고유값 및 고유벡터로 표현된다. 대각화 가능 행렬만이 인수분해 될 수 있다.
위 정의를 읽어보면 고유값 분해는 어떤 행렬을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이용해 다른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네요. 그리고 분해되기 위한 조건은 초기 행렬이 대각화 가능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유값과 고유벡터에 대해선 이전시간에 다루었으므로 해당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구요링크: 고유값, 고유벡터, 오늘은 ‘대각화가능’이라는 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2.닮음(Similar)
대각화를 이야기하기전에 ‘닮음’이라는 성질에 대해 먼저 알아야하는데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닮았다’라는 말은 두 대상이 동일하진 않지만 ‘비슷하다’라는 느낌이 들 때 쓰는데요. 행렬에서 닮음(similar)라고 함은, $P^{-1}AP = B$를 만족하는 가역행렬 P가 존재할 때, 정사각행렬 A와 B는 서로 닮음 이라고 합니다. 행렬 A와 B는 동일한 행렬은 아니지만 서로 비슷하다는 의미죠. 이 때 ‘가역행렬 P’란 P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행렬식이 0이 되면 안되겠죠?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서 $ B = P^{T}AP$를 만족하면 직교행렬 P가 존재할때, B는 A에 직교닮음(orthogonally similar)라고 합니다.
3.직교 대각화(Orthogonal Diagonalization)
방금 다루었던, 직교 닮음에서 정사각행렬 B가 대각행렬 D라면 어떨까요? 즉, $P^{T}AP = D$를 만족하는 직교행렬 P가 존재하는 경우죠. 이런 경우 직교행렬 P는 A를 ‘직교 대각화’ 한다고 말하며, A는 ‘직교 대각화 가능(orthogonally diagonalizable)’하다고 말합니다. $P^{T}AP = D$ 이 식을 잘 보시면 행렬 A에 어떤 선형변환을 취했을 때, 대각 원소만 남는 대각행렬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아요. 그리고 A가 만약 직교 대각화 가능하다면 A는 반드시 대칭행렬이어야합니다. 대칭행렬은 $A^{T}=A$, 즉, 자기 자신과 전치행렬이 같아지는 특징이 있는데요. 행렬 A가 대칭행렬이어야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A^{T} = (PDP^{T})^{T} = (P^{T})^{T}D^{T}P^{T} = PDP^{T} = A $
우리가 아는 대칭행렬 중 아주 유명한 대칭행렬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공분산 행렬인데요, 대칭행렬에 관해 적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은 공분산 행렬을 다룰 때 큰 도움이 됩니다.
4.고유값분해(eigen decomposition)
자, 이제 오늘의 주인공인 고유값 분해(또는 스펙트럴 분해)까지 왔습니다. 고유값 분해는 직교대각화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직교대각화를 이해하셨다면 고유값 분해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선형대수 포스팅 중 가장 먼저했던 포스팅이 고유값, 고유벡터 였는데요,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겠죠. 이번에도 고유값, 고유벡터가 쓰입니다. 즉 직교대각화에서 쓰이는 ‘직교’벡터 $P$가 고유값 분해에서는 고유벡터를 이용해 만들고, 대각행렬의 원소에 해당하는 것이 고유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쉽게 말해 어떤 대칭행렬 A의 고유값과 고유벡터가 존재할때 A의 스펙트럴 분해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 그림을 설명하자면 고유값분해의 정의대로 어떤 대칭행렬 A를 고유값과 고유분해를 이용해 분해한 것이네요.
마지막으로 고유값 분해의 위키백과 정의를 보시면서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선형대수학에서, 고유값 분해 또는 스펙트럼 분해는 행렬을 정형화된 형태로 분해함으로써 행렬이 고유값 및 고유벡터로 표현된다. 대각화 가능 행렬만이 인수분해 될 수 있다.
5.마무리
오늘 배운 고유값 분해는 머신러닝에서 많이 쓰이는데요. 특히 유명한 것은 고유값분해를 $m \times n$ 행렬로 일반화 시킨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특이값 분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